본문 바로가기

[IEEE 8023 이더넷 주요 표준], [자동 협상 우선순위] [IEEE 802.3 이더넷 주요 표준] 위원회 연도 표준 주요 내용 802.3 1983 10BASE5 Thick coax 케이블을 이용한 10 Mbps Ethernet 802.3a 1985 10BASE2 Thick coax 케이블을 이용한 10 Mbps Ethernet 802.3i 1990 10BASE-T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한 10 Mbps Ethernet 802.3u 1996 100BASE-TX 100BASE-T4 100BASE-FX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한 100 Mbps FastEthernet 802.3z 1997 Full Duplex, Flow Controll 802.3ab 1998 100BASE-T coax, Fiber Optic Cable을 이용한 1 Gbps..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5편 ] IPv4 / IPv6 주소 변환 기술 터널링 기술은 트래픽이 IPv6망에서 인접한 IPv4망을 거쳐서 건너편 IPv6 망으로 통신할 때 IPv4 망에 터널을 만들어 IPv6 패킷을 통과시키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터널링[편집] - wikipedia.org 터널링은 IPv6/IPv4 호스트와 라우터에서 IPv6 데이터그램을 IPv4 패킷에 캡슐화하여 IPv4 라우팅 토폴로지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터널링은 기존의 IPv4 라우팅 인프라를 활용하여 IPv6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Pv6-in-IPv4 터널링 방법은 크게 설정 터널링(configured tunneling) 방식과 자동 터널링(automatic tunnel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설정 터널링 6Bone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두 라우터 간(혹은 호스트 ..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4편 ] IPv4 / IPv6 주소 변환 기술 변환 기술은 IPv4 망과 IPv6 망 사이에 주소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호 연동 시키는 기술입니다. IPv6 클라이언트가 IPv4 서버에 접속 하거나 반대로 IPv4 클라이언트가 IPv6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IPv6와 IPv4 간의 주소 전환 장비를 이용하여, 기존의 IPv4에서 사용되던 NAT 기술과 마찬가지로 IPv6와 IPv4 간의 Address Table을 생성하여 양단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은 IPv4 패킷과 IPv6의 패킷에서 IPv4 헤더와 IPv6 헤더를 제외한 상위 계층은 동일한 구조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IPv4, IPv6 헤더 부분을 전환하며 그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상위 계층의 패킷에 IP정보가 포함된 프로토콜이 포함된 경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