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1편 ] NTP 란? NTP (network time protocol) ; 네트웍 시각 프로토콜 "NTP"는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끼리 클록 시각을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NTP"는 미국 델라웨어 대학의 데이빗 밀스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나, 이제는 인터넷 표준이 되었다. "NTP"는 컴퓨터 클록 시간을 1/1000 초 이하까지 동기화시키기 위해 협정 세계시각(UTC)을 사용하게 됩니다. - www.terms.co.kr - 국내 Time Server 리스트 직장이나 가정에서 개인 PC의 시각 동기용으로 타임서버를 선택할 경우 Stratum 2 타임서버를 선택하세요. - Stratum 1 타임서버는 Stratum 2 타임서버의 시각동기를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Stratum 2 타임서버를 선택해도 충분..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0편 ] IP (아이피) 란? IP자체는 비 연결지향적이며 신뢰할 수 없는 프로토콜임.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거쳐야 할 경로를 설정해 주지만, 경로는 일정치 않고, 혹시 데이터 전송 도중 경로상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경로를 선택해 주는데, 이과정에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해서 이를 해결해주지 않는다. 즉 오류발생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지 않은 프로토콜이다. 1]비신뢰성 : 가능한 범위 내에서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최선형 서비스(best effirt service) 2]비접속형 : 연결 설정 없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9편 ] TCP Header 4계층 TCP 헤더 구조 TCP Header 구조 Source Port address 필드(16bit) : 데이터를 생성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 Well-known ports(0~1,023) : IANA에 의해 배정되고 제어된다. - Registered port(1,024~49,151) : IANA에 의해 배정되거나 제어되지 않는다. 하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IANA에 등록 될 수는 있다. - Dynamic Ports(49,152~65,535) : IANA에 의해 제어되거나 등록되지 않는다. 어느 프로세스라도 사용 할 수 있으며 임시 포트이다. 클라이언트를 위한 임시 포트 번호는 이 영역에서 선택되도록 권고되고 있다. Destination Port address 필드(16bit) : 목적지 애플리케.. 더보기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7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