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 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을 사용하는 목적에는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인터넷이란 공공망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고유한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NAT를 이용하면 사설 IP주소를 사용하면서 이를 공인 IP주소와 상호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인 IP주소를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공개된 인터넷과 사설망 사이에 방화벽(Firewall)을 설치하여 외부 공격으로부터 사용자의 통신망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외부 통신망 즉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장비인 라우터에 NAT를 설정할 경우.. 더보기
부하분산 [load balancing, 로드밸런싱] 이란? *로드밸런싱의 정의 : 로드밸런싱이란(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저하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로드밸런싱 서비스 방식 : 네트워크 상단에 L4스위치 가상서버가 존재하여 서버로 들어오는 패킷을 리얼 서버로 균일하게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킵니다. 만약 리얼 서버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서버로 부하 분산시킵니다. *로드밸런싱의 장점 : 1. 고가의 서버로 확장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서버를 증설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절감 할 수 있습니다. 2. 대량의 트래픽으로 1대의 서버로 집중적인 부하율이 높아.. 더보기
[ Network Tip ] Network Error, Layer 점검 Tip ■ Network Error, Layer 점검 Tip (1) 물리층에서의 Trouble ① 케이블의 이상 ② Network Interface Card(NIC)와 Transceiver 등의 하드웨어 장애 ③ 물리적 접속 규격의 초과 ▶ 케이블 이상 케이블의 장애에는 단선과 쇼트가 있다. Ethernet 에서 단선되면 신호의 전압이 -4V 이하로 떨어지 기 때문에 Collision(충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케이블이 쇼트되면 Carrier loss 되고, 모든 노 드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상황의 경우에는 전용 케이블 테스터를 사용한다. ▶ 하드웨어 장애 NIC와 Transceiver의 장애는 일반적으로 터미널 한 대의 통신 불능으로 나타나지만, 가끔 드물게 모 든 노드가 사용할 수 없..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