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1) 개요 : RTP는 인터넷상에서 다수가(영상회의 등) 종단간에 실시간으로 비디오나 오디오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말한다.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2) 특징 : RTP는 신뢰성은 없으나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UDP라는 수송 프로토콜 위에서 실행(즉, UDP와 함께 사용되어짐)되며 주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 시간 특성이 강한 데이터의 전달에 이용 - RTP는 실시간 응용에 필수적인 시간 정보 및 매체의 동기화 기능 제공 - UDP, RTP 모두 트랜스포트 계층용 프로토콜이지만, 특히 RTP는 네트워크계층이나 수송계층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는 등 하위 프로토콜에 별로 의존하지 않는다. ○ 자원 예약 등을 위해 별도의 프로토콜과 병행 - RTP는 전송률 제어 등을 .. 더보기 SIP와 H.323 IP 네트웍 상의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토콜로는 ITU의 H.323과 IETF의 SIP가 있는데 현재 유선 인터넷 망에서는 H.323이 VOIP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ALL-IP 핵심망을 위해서 3GPP에서는 SIP를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채택하고있다. 더보기 FTP의 Active Mode 와 Passive Mode ■ FTP는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Active Mode와 Passive Mode가 존재한다. - 웹브라우저들은 일반적으로 Passive Mode로 설정되어 있고, 알FTP나 WS-FTP, CuteFTP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Active Mode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1) FTP Active Mode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로 접속 후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두 번째 포트를 서버에 알려준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서버로 부터 Ack를 보내고, 서버의 20번 포트는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두 번째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 ○ Active Mode 의 문제점 : 일반적인 TCP/IP의 특징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가 클.. 더보기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