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equency(주파수) 란? 주파수란?? 전파가 이동을 할때에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초당 진동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한다. 주파수는 독일의 과학자 헤르쯔의 이름을 따서 Hz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전파의 파장은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전파가 이동을 할 때에 파면(파동)을 그리면서 이동을 하게 되는데, 파동 간의 이동거리를 '파장'이라 한다. 파장이 길다는 것은 주기가 길다는 것이고 주기가 길다는 것은 주파수가 낮다는 의미이다. 전파의 종류는 주파수에 의해서 구분이 되는데 주파수가 높은 것은 직진성이 좋고 반사가 잘 되는 성질을 지닌다. 반면 낮은 주파수는 멀리 전달될 수 있고, 전달되는 과정에 장애물에 부딪치면 회절하는 성절이 있다. 이처럼 주파수에 따라 성질이 다른데, 비슷한 성질을 갖는 주파수를 묶을 것을 주파수대 라고 한다. 더보기
전송속도(bit rate)와 대역폭(Bandwidth)의 차이점 컨베이어벨트로 작동하는 맥주 생상 공장에 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공장의 컨베이어벨트의 왼쪽에서는 맥주를 병에 담고(A) 오른쪽에서는 맥주병을 박스에 담고(B) 있다. ----------------------------------- A □ □ □ □ □ □ □ B ----------------------------------- 이런 상황에서 A쪽에서 컨베이어벨트에 맥주병을 올려 놓는 속도를 '전송속도'라고 할 수 있으며, 물론 B에서는 같은 속도로 병을 상자에 담아야 한다. 대역폭은 분야에 따라 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용능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를 '대역폭'이라 할 수 있다. 대역폭이 넓으면 병을 그림과 같은 1열이 아닌, 2열, 3열 그 이상으로 한번에 보낼 수 있다. .. 더보기
VPN 개요 및 기술 분석 VPN 개요 및 기술 분석 시그엔 정보보안기술팀 VPN, 안전한 통신 환경의 대안 IT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솔루션을 꼽는다면 단연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이 그 선두에 있다. VPN 기술은 그 기본 개념이 소개된 이후로 뛰어난 비용절감 효과와 보안 신뢰성을 무기로 꾸준히 그 영역을 넓혀갔다. 특히, 국내 환경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발달된 xDSL 인프라를 기반으로 브로드밴드(Broadband) VPN 솔루션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업 환경 VPN 실전 구축 가이드라는 주제로 총 4회에 걸쳐 VPN의 기본 개념과 특징, 구현기술 등을 살펴보자. 또한 기업 환경에서 VPN을 구축할 때 필수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