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E 와 DTE (1) DTE 와 DCE의 개념 ○ DTE - Data Terminal Equipment의 약자 -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측에서 데이터 발신 장치나 수신 장치, 또는 두 가지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 - DTE는 반드시 모뎀과 같은 DCE장치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DCE에 의해 생성된 클럭 처리 신호를 사용한다. - DTE에는 컴퓨터, 멀티플렉서, 라우터 등과 같은 장치가 포함된다. ○ DCE -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의 약어(EIA 확장기준) -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의 약어(ITU-T 확장기준) -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 DCE는.. 더보기 MGCP & MEGACO Medea Gateway Control Protocol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과 IP 네트워크간의 연동을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1) MGCP & MEGACO 인터넷 전화에서 전화망과 IP망을 접속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IP 네트워크상에서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MGCP는 IETF 에서 제안하였고, 후에 IETF와 ITU-T가 공통으로 제안한 프로토콜이 MEGACO 이다. ○ MGCP TEXT 기반 프로토콜로서 디버깅이 용이하다. ○ MEGACO MGCP의 발전된 형태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분해하여 각 기능들간의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으며, 각 기능들이 사용 목적에 따라 분산 및 집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MGCP.. 더보기 포트 (Port) ■ 일반적으로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인터넷 강의를 보면서 친구들과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대화를 하는 것 입니다. 현재 이 두개의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잇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는 하나의 물리적 연결 장치(네트워크 가드)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IP 주소를 가지게 됩니다. 즉 인터넷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그램이 현재 여려 개 실행되고 있더라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길(통로)는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컴퓨터는 어떻게 수신한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에게 전달해 줄 수 있.. 더보기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