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reless Security] 무선 네트워크 암호화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IEEE 802.11 LAN 표준에 규정되어 있는 WEP 암호화 방식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프레임들을 40비트 길이의 WEP 비밀 KEY (관리자가 설정한 암호문으로 부터 얻어진 KEY 값)와 임의로 할당되는 24비트의 IV(Initialization Vector)로 조합 된 총 64비트의 KEY를 이용하여 RC4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는 것이다. - WEP 비밀키는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문으로 부터 4개가 생성되는데 2비트의 KeyID로 각각을 구분 하고, 이 키중 하나를 선택 하여 MAC Frame에 대한 WEP 암호화에 사용된다. - WEP 암호화 방식은 64비트 암호화 방식의 40비트 WEP, 128비트(WEP2) 암호화 방식인 10.. 더보기
logic gate (AND, OR, XOR, NOT, NAND, NOR, and XNOR) A logic gate is an elementary building block of a digital circuit. Most logic gates have two inputs and one output. At any given moment, every terminal is in one of the two binary conditions low (0) or high (1), represented by different voltage levels. The logic state of a terminal can, and generally does, change often, as the circuit processes data. In most logic gates, the low state is approxi.. 더보기
무선랜 WEP 암호화 알고리즘 취약점 1999년의 IEEE 802.11무선 LAN 표준에 규정된 WEP(Wired Equivalent Privacy) 암호 방식을 무선 구간에서 전송되는 MAC 프레임들을 40비트 길이의 WEP 공유 비밀 키와 임의로 선택되는 24비트의 Initialization Vector(IV) 로 조합된 총 64비트의 키를 이용한 RC4 스트림 암호 방식 이다. 이러한 WEP에 의한 단말과 AP간 암호를 위하여 먼저 쌍방은 동일한 패스워드 문장으로부터 생성되는 4종류의 장기 공유 키를 자동 생성한다. 이 4개의 고유 키는 2비트의 KeyID로 각각 구분된다. 이후, 4개의 공유 키 중 하나를 선택하여 MAC 프레임에 대한 WEP 암호시 사용한다. 전송되는 MAC 프레임을 보면 암호화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암호화시 사용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