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 동작 방식에 대한 상세 설명 이번 포스트에서는 HTTPS 프로토콜의 암호화 패킷 교환 방식인 SSL의 정의 및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 예제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글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보통 웹 상에서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페이지에 접근 시 SSL 동작이 시작됩니다. 1. SSL 동작 방식에 대한 기본 예 상세 예제 사이트: http://www.docstoc.com/docs/53837043/SSL(Secure-Socket-Layer) 2. SSL 동작 방식에 대한 WIRE SHARK 패킷 교환 예 아래 그림의 파란 테투리는 "TCP 3 Way Handshake" 부분을 가리키고, 빨간 테두리는 "SSL 패킷 교환 협상" 부분을 가리킵니다. 아래는 SSL 동작.. 더보기 아이폰 앱 개발의 인증서와 코드 사이닝 이해하기 iOS개발을 하면서 가장 헷갈리는 컨셉중 하나는 개발중인 앱을 실제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개인키, 공개키, 인증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등 뭐가 뭔지 모르겟는 컨셉들이 마구 등장하기 때문인데 앱을 사이닝하면서 배포하는 과정에서 어떤 일어 나는지 알아 보면서 어려운 개념들을 하나하나 이해해보기로 하자. 먼저 왜 앱개발자들이 이런 것들을 이해를 해야 하냐고 따진다면, 단지 애플만이 자신들의 하드웨어에서 어떤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도록 허락된 주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절대명제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런 컨셉을 싫어해서 아이폰을 탈옥시켜서 애플로부터 해방되려고 애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매번 앱이 실행될때마다 앱은 애플로 부터 인증을 받았는지 그래서 앱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 더보기 SSL이란 무엇이며 인증서(Certificate)란 무엇인가? 1.3. SSL이란 무엇이며 인증서(Certificate)란 무엇인가? SSL(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은 처음에 Netscape사에서 웹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보안을 위해 만들었다. SSL은 Certificate Authority(CA)라 불리는 서드 파티로부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인증을 하는데 사용된다. 아래는 SSL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웹브라우저] SSL로 암호화된 페이지를 요청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https://가 사용된다) [웹서버] Public Key를 인증서와 함께 전송한다. [웹브라우저] 인증서가 자신이 신용있다고 판단한 CA(일반적으로 trusted root CA라고 불림)로부터 서명된 것인지 확인한다. (역주:Internet.. 더보기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