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서버, WAS 서버 얼마전 한 프로젝트의 초기 킥오프 미팅 때의 일이다. 그 클라이언트는 서버를 관리하는 업체가 따로 있어서 서버 담당하는 업체가 와서 설명하고 있었는데, 그 자리에 있던 경력 다른 개발자가 귀뜸으로 "근데 WAS가 뭐예요?" 라고 물어봤다. WAS가 대략적으로 웹서버다라는 것는 알고 있지만, 사실상 웹서버와는 다른 부류라는 것만 알고 있고 정확하게 알고 있지는 못해서 속 시원히 대답해줄수가 없었다. 지금까지 WAS라는 단어를 꽤 많이 사용해왔지만 무엇을 의미하는지 제대로 찾아보고 정의해본 적이 없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선 녹색창에 WAS 서버라고 검색하니 용어정리가 많이 나왔다. (참고 : http://sun2lub.blog.me/20161667914, http://blog.naver.com/idban.. 더보기 AIX OS Version 식별 우선 AIX 버전을 알아보는 명령어인 oslevel -s 을 사용하면 6100-05-09-1228 이라는 결과가 나오네요~! (이런 정보를 어디서 가져온다고 했나요? ODM 이라고 답하신 당신은 멋쟁이) 그럼 저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우선 맨앞 6100은 AIX의 버전을 의미합니다. 5300은 5.3 6100은 6.1 7100은 7.1 버전을 의미하지요 그리고 그 다음 숫자 05는 TL(Technology Level)을 의미하는 데요 보통 테크놀로지 레벨이라고 하지 않고 티엘이라고 그대로 말합니다. TL을 올리게 되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신규 서비스와 기능 추가 됩니다. 즉 04 보다는 05가 뭔가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뜻입니다. (특정 파라미터를 이제 수동으로 설정 할필요 없이 자동으로.. 더보기 VTL 이란 VTL은 가상화 테이프 라이브러리(Virtual Tape Library)의 약자로 디스크 스토리지가 서버에서는 테이프로 인식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디스크 스토리지에 전용 소프트웨어 엔진을 탑재하거나 일체형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게 일반적인 VTL 구현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물리적으로는 디스크 스토리지이지만 시스템은 이를 테이프로 인식하게 된다. VTL을 활용해 디스크를 테이프로 인식한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비용상 이점을 안겨줄 수 있다. 국내 백업 장치의 상당부분이 테이프를 활용하고 있는 상황. 최근 디스크 가격이 하락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백업 미디어로 테이프보다 디스크를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지만 문제는 각종 관련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들이다. 백업 미디어를 테이프에서 디스크로 전환하게 되면 제..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