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Point-to-Point Protocol)는 두 대의 컴퓨터가 통신에 필요한 링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특히 전화회선을 통해 서버에 연결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SP 서버와 접속해 인터넷을 이용할 때 PPP를 이용합니다.
사무실의 LAN 환경과 비교해보며 각 PC는 이더넷 UTP 케이블을 통해 허브 또는 스위치에 연결을 해야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UTP 케이블이 인터넷과 연결된 네트웍과의 링크 역할을 하는 것이고, IP는 이 링크를 통해 자신의 데이터그램을 보내고 받을 수 있습니다.
유사하게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IP 데이터그램이 흘러갈 수 있는 링크가 필요한데 이 링크를 구성해 주는 것이 바로 PPP입니다. 즉 마치 ISP 네트웍까지 가상의 UTP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실제 PPP가 링크를 구성하기까지는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합니다. 우선 ISP 서버에 접속 시도를 하면 ISP 서버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아무에게나 접속을 허용할 수는 없기 때문이지요. 보통은 접속 요청시 보내진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확인해 등록된 서비스 가입자라면 접속을 허용합니다.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등을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보통은 네트웍 운영자에게 물어보고 자신이 직접 설정을 합니다. 하지만 PPP를 이용해 원격지에서 링크를 구성해 인터넷을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이 매번 이런 정보들을 ISP 운영자에게 물어보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DNS 주소와 같이 사용자마다 변동이 없는 정보는 그리 문제되지 않지만,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값을 부여해야 하는 IP 주소 설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PPP에는 네트웍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포함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위에서 설명한 IP 주소 설정이 되겠지요.
PPP의 또 다른 기능 중 하나는 PPP 링크를 여러 개의 네트웍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IP, IPX, AppleTalk)이 공유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마치 사무실에서 IP와 IPX를 이더넷 UTP 케이블 링크에 동시에 바인딩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간략하게 PPP에 대해서 설명 드렸습니다. 실제 PPP는 가입자들에게 필수적인 프로토콜이고 또 그만큼 다양한 응용과 관련 프로토콜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최근 많이 언급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경우 이 PPP를 확장한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등이 핵심적인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윈도우98부터 PPTP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PPP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알고자 한다면 아래 문헌들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PPP Design and Debugging
by James Carlson
Paperback - 228 pages (December 1997)
Addison-Wesley Pub Co; ISBN: 0201185393
(아마존에 가보니 이 책의 2판이 올 8월에 출판된다고 나와있군요.)
Using and Managing PPP
by Andrew Sun, Michael Loukides (Editor)
Paperback - 444 pages 1 edition (March 1999)
O'Reilly & Associates; ISBN: 1565923219
물론 PPP에 대한 인터넷 표준인 RFC 1661을 읽어보는 것도 빠트릴 수 없겠지요.
'IT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속도(bit rate)와 대역폭(Bandwidth)의 차이점 (0) | 2014.10.18 |
---|---|
VPN 개요 및 기술 분석 (0) | 2014.10.15 |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0) | 2014.10.12 |
SIP와 H.323 (0) | 2014.10.12 |
FTP의 Active Mode 와 Passive Mode (0) | 2014.10.12 |